class="color-gray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경제/재테크 팁

복리의 마법

복리의 마법

아인슈타인은 복리는 제8대 불가사의라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복리를 이해하면 돈을 벌지만, 이해를 하지 못한다면 복리로 돈을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복리(Compound Interest)'라는 말은 어디서 한 번쯤은 들어 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사칙연산을 배웠다면 누구나 복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복리를 이해하기 전에 '단리(Simple Interest)에 대해 이해가 필요합니다. 단리는 약정된 이자를 일정하게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은행에 저축하여 10년 만기 예금의 금리를 연 10%라고 본다면, 1년 후 이자는 10만 원이 됩니다. 이렇게 세월이 흘러서 10년 후 단리 이자(10%)는 '200만 원'이 됩니다.

복리는 단리와 다르죠. 만약 원금 100만 원을 10년간 복리이자(10%)로 본다면은 10년 후에는 100만 원이 259만 원 정도 됩니다. 이렇게 본다면 단리의 금액과 별 차이가 없어 보일 수는 있습니다.

그래프로 보겠습니다.

복리로 돈을 굴릴 때, 초반에는 단리와 별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재미를 못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누적되면 될수록 두 개념의 차이는 극명해집니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이자에 이자가 붙는 차이는 더더욱 많이 벌어질 것입니다. 시간을 늘려 30년까지 확장해 보았습니다.

단리의 경우에는 400만 원이었지만, 복리의 경우엔 약 1600만 원이 되었습니다. 원금 기준으로는 복리는 약 16배 불어난 것입니다. 시간이 더 지나면 그 결괏값의 차이는 더 벌어질 것이라는 것은 이제 누구나 다 예측 가능할 것입니다. 이렇게 복리의 마법을 제대로 활용하는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결국 주식을 소유하면서 팔지 않고 들어오는 배당금을 재투자할 때 빛을 볼 수 있습니다.

본업을 충실히 하면서 원금을 꾸준히 납입하고 또 주식에서 나오는 배당금으로 다시 그 주식을 사는 것입니다.

복리의 힘은 이렇게 무섭습니다. 시작은 미약하나 꾸준히 복리로 수익을 늘려가기만 한다면 우리는 투자시장에서 이길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시간의 개념이 들어간다면 투자의 기간이 지속되면 지속될수록 이자에 이자가 붙어서 수익의 스노우 볼(Snow ball)처럼 불려 나갈 수 있습니다. 마치 탑을 쌓아 올리는 것처럼 꾸준히 해야 합니다.

하지만 복리의 마법에서 잊어서는 안 될 두 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시간과 인플레이션입니다.

첫 번째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복리의 힘은 지속될 것이며 수익률도 극대화할 것입니다. 하지만 인간의 수명은 한계가 있으며, 우리가 일을 시작하여 짧으면 10년 길면 30년이라는 시간 동안 쉬지 않고 일을 해야만 한다는 것입니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수명이 연장되어 인간이 100세까지 산다고 하면, 사회 초년생이 빠르면 25세에 일을 시작한다고 해도 30년 후면 55세입니다. 이렇게 복리의 마법을 위해서는 우리의 한정된 수명과 젊은 청춘을 담보로 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는 인플레이션입니다. 복리를 생각하면 인플레이션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화폐의 가치는 계속해서 하락할 것이고, 인플레이션에 대비하여 물가는 계속 오를 것입니다. 우리가 과거에는 붕어빵 4개를 천 원에 사 먹었지만, 지금은 한 두 개에 천 원입니다. 벌써 가격이 2~4배가 뛰었습니다. 서울 집값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복리를 통해 수익을 내도 실제로 돈의 가치는 하락하여 지금 가치에 비해 평가절하될 것입니다.

처음에 복리 이자(10%)를 원금 100만 원으로 계산하지 않고, 현실적인 조건으로 바꿔서 1억을 투자원금으로 연 복리 이자(10%)로 20년간 투자를 했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렇다면 1억의 원금이 20년 후 5.8억입니다. 하지만 5.8억이라는 돈은 인플레이션 효과를 생각하면 20년 후 5.8억이라는 돈은 가치 절하되어 지금의 2억 정도의 가치로 되어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렇다면 원금이 10억이라면 20년 후 대략 60억 정도가 됩니다. 돈의 가치가 절하되었다면 지금의 20억 정도 가치가 될 것입니다.

결론은 종잣돈이 많아야 합니다. 실질적으로 복리의 힘을 누리기 위해서는 원금 자체가 많아야 한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즉, 월 소득을 늘려 복리 투자에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금액을 쏟아부어야 합니다. 종잣돈의 금액이 어느 임계점을 돌파하는 순간 진정한 복리의 마법이 펼쳐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