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재테크 팁 (3) 썸네일형 리스트형 2030 사회초년생이 큰일 난 진짜 이유, 난 25살인데..? 안녕하세요! 오늘은 2030 사회초년생들이 경제적으로 꼭 알아야 할 자본주의 생존 방식을 쉽게 풀어보겠습니다.저는 25살 곧 졸업을 앞둔 대학생입니다. "겪어보지도 않아 놓고, 니가 뭔데 이런 글을 쓰냐?"라고 물으실 수도 있습니다. 네, 저도 경험하진 못했지만 살아오며 겪은 일들과 20살에 깨달은 내용을 바탕으로 돈에 얽매이지 않은 삶을 살기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제 소개를 간단히 드리자면25살에 순 자산 5천만원 달성건강기능식품 구매대행 사업대학교 학점 4.13(전공 4.25) - 인서울 4년제장학금, 멘토링, 강사, 다양한 아르바이트 경험 보유월 평균 10만원 배당금 수령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 나카디(NAKADI)를 소개합니다.안녕하세요 저.. 대학생, 사회초년생을 위한 맞춤형 투자 전략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순간은 누구에게나 설렘과 동시에 막연한 불안감을 동반합니다. 아직은 일부 부모님의 도움을 받을 수는 있지만, 조만간 스스로 경제적 독립을 이루어야 하고, 미래를 향한 재정적 준비도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올바른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은 장기적인 재정적 안정과 목표 달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 1. 재무 목표 설정투자의 첫 걸음은 명확한 재무 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단기적으로는 1천만원 모으기와 같은 목표가 있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주택 구입, 은퇴 자금 마련 등의 목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면 필요한 자금과 투자 기간을 명확히 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투자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저는 26살에 취업하여, 한 달에 150만 원씩 저축.. 복리의 마법 복리의 마법아인슈타인은 복리는 제8대 불가사의라고 말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복리를 이해하면 돈을 벌지만, 이해를 하지 못한다면 복리로 돈을 지불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복리(Compound Interest)'라는 말은 어디서 한 번쯤은 들어 보셨을 겁니다. 그리고 사칙연산을 배웠다면 누구나 복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복리를 이해하기 전에 '단리(Simple Interest)에 대해 이해가 필요합니다. 단리는 약정된 이자를 일정하게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은행에 저축하여 10년 만기 예금의 금리를 연 10%라고 본다면, 1년 후 이자는 10만 원이 됩니다. 이렇게 세월이 흘러서 10년 후 단리 이자(10%)는 '200만 원'이 됩니다.복리는 단리와 다르죠. 만약 .. 이전 1 다음